(1)메탄올, Methanol, Methyl Alcohol, 제4류 위험물 알코올류
(2)에탄올, Ethanol, Ethyl Alcohol, 제4류 위험물 알코올류
(3)이소 프로필 알코올, IPA, Iso Propyl Alcohol, 제4류 위험물 알코올류1
대부분 화학물질명이 아닌 상품명으로 불리우는 경우가 많다.
가솔린, 경유, 등유 역시 석유계물질이며,
탄소의 길이가 서로 다른 탄소화합물이 혼합되어 있는 비율에 따라
구분되어 지며, 주로 분별증류에 의해 분류되어 상품화 된다.
- Aromatic 용제, 6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고리 화합물로, 고리가 안정되어 있어
첨가 반응이 일어나기 어렵고 주로 치환반응이 일어나는 물질.
(1)Xylene (C6H4(CH3)2)은 관용명으로 정식 명칭은 Di Methyl Benzene 이다.
자일렌은 3가지의 치환체에 따라, 오르토(ortho-), 메타(meth-) 파라(para-)
로 구분되어 지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환체는 메타, 파라 자일렌이다.
o-Xylene은 제4류 위험물 1석유류
m-Xylene, p-Xylene은 제4류 위험물 2석유류
(2)Toluene(C6H5CH3)은 관용명으로, 정식 명칭은 Methyl Benzene이다.
톨루엔은 제4류 위험물 1석유류이다.
(3)Styrene(C6H5CH=CH2) 이중결합을 포함하고있어, 단량체로 사용되며, 방향족 화합물이다.
수지합성 및 희석용제로도 사용되며, 제4류위험물 2석유류 이다.
붙여서 명명한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은 그대로 사용한다
극성과 비극성적인 특징을 모두 갖고있으며, 물에도 유기용제에도 잘 섞인다.
제4류 위험물 1석유류, 유독물로 구분됨.(탈지 작용을 함.)
(1)M.E.K, Methyl Ethyl Ketone, 2-Butanone
(2)M.I.B.K, Methyl Iso Butyl Ketone
(3)아세톤, Acetone, Di Methyl Ketone(아세톤은 관용명), Propanone
(4)M.A.K, Methyl n-Amyl Ketone(CH3COC5H11)
글리콜 에테르계 용제는 명명법이 복잡하고 이명(異名)이 많다.
구분이 난해하고, 혼동의 위험성이 크므로
취급 및 표식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1)에틸 셀루솔브 : Ethyl Cellosolve, Ethylene Glycol Mono Ethyl Ether,
2-ETHOXYETHYL ALCOHOL, BETA-ETHOXYETHANOL,
제 4류 위험물 2석유류 명칭이 다양하다.
(2)부틸 셀루솔브 : Butyl Cellosolve, 2-n-Butoxy-1-ethanol, Butyl Glycol[B.G]
Ethylene Glycol Mono-n-Butyl Ether, 제4류 위험물 2석유류
(3)부틸 카비톨 :Di Ethylene Glycol Mono Butyl Ether, 제4류 위험물 3석유류
발휘하기도 한다.
(1)초산 에틸 : 초산 에틸, Ethyl Acetate , 아세트산 에틸 제4류위험물 1석유류
화재성이 높으며, 용제 폭발 및 화재사고 발생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용제
(2)초산 부틸 : B.A, Butyl Acetate, 아세트산 부틸 , 제4류위험물 2석유류
어는점이 높다(2~4°C), 끓는점이 낮다(90°C)
사유 : TVOC(총 휘발성 유기화합물)규제에 따른 사용량의 증가가 예상되는 용제
다만, 어는점이 높아 동절기 보관 및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과
끓는점이 낮아 단독으로 수지합성등 고온에 대한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TVOC 규제때문에 대체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물성의 보완이 필요하며, 가격역시 기존 BTX 용제에 비교하여 약 20~40%가량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