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주는 블로그

1. Latex(고분자) 투입 순서의 영향

  1. Latex가 Polycarboxy Acid와 Epoxy의 반응 속도를 조절했을 가능성
    • Latex(특히 VPLatex 및 SBR Latex)은 이온성 및 콜로이드 분산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pH에서 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Polycarboxyl Acid과 Glycidyl Epoxy가 먼저 교반된 상태에서 Latex가 나중에 투입됨으로써 점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즉, Latex가 반응 환경을 변화시키면서 Acrodur 950L과 EX 313의 추가적인 가교화를 방지했을 수 있습니다.
  2. pH 변화 조절 가능성
    • NH4OH(25%)는 용액의 pH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며, Polycarboxyl Acid 과 Glycidyl Epoxy 의 반응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Latex는 pH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나중에 추가됨으로써 기존 반응(특히 Polycarboxyl Acid  과 Glycidyl Epoxy 의 가교화)에 영향을 미쳐 점도를 낮추거나 안정화하는 역할을 했을 수 있습니다.
  3. 고분자 물질이 물리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점도 조절
    • Latex는 **물리적 네트워크(Physical network)**를 형성하면서 고분자 간 상호작용을 조절합니다.
    • 초기에는 Polycarboxyl Acid Glycidyl Epoxy  이 화학적 가교화를 형성했을 수 있지만, Latex가 나중에 투입되면서 물리적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가교화된 구조가 분산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응형
donaricano-btn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