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VP Latex (Polyvinyl Acetate Latex)SBR Latex (Styrene-Butadiene Latex)
화학 구조 |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 기반 |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
이온성 | 일반적으로 비이온성 또는 약한 음이온성 | 일반적으로 음이온성(-COO⁻, -SO₃⁻ 등) |
표면 전하 | 중성 또는 약한 음이온성 (안정적) | 강한 음이온성 (pH 변화에 민감) |
분산 안정성 | 넓은 pH 범위에서 안정 | 특정 pH에서 응집 가능 |
반응성 | 상대적으로 낮음 (화학적 안정성 높음) | 친핵성 또는 전하 변화에 반응 가능 |
SBR Latex는 음이온성을 띠고 있어 pH 변화에 민감하고, Polycarboxyl Acid 및 글리시딜 에폭시와 반응하여 응집(Gelation)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지만, VP Latex는 이러한 문제에서 자유로워 Gelation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습니다.
Wax가 표면을 보호하는 원리와 열에 의한 반응 여부 (0) | 2025.02.21 |
---|---|
SBR Latex에서 Gelation이 발생한 이유 (0) | 2025.02.21 |
VP Latex가 접착력이 좋은데 SBR Latex를 추가하는 이유(In RFL System) (0) | 2025.02.21 |
Wax의 역할은 무엇인가?(In RFL system) (0) | 2025.02.21 |
RFL Recipe 등 Tire Cord 2Dip에 SBR Latex를 쓰는 이유? (0) | 2025.02.21 |
PE 냉감의 원리 (0) | 2024.06.14 |
RFL 처리시의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 (0) | 2024.06.14 |
Tire Cord의 PET 고분자에 1Dip으로 에폭시와 이소시아네이트를 Dipping하고 2Dip으로 앞서 언급한 선반응한 RF레진을 쓴 RFL Dip액과 순차적으로 만든 저분자량 RFL레진을 사용한 RFL Dip액을 가지고 열처리를 한다. 이때 1Dip과 2Dip의 온도는 모두 240도로 고온인 경우 RFL처리된 PET가 NH3에 추가적으로 반응할 수 있을까? (0) | 2024.06.14 |
NH3의 공격을 방어하는 측면에 화학메커니즘으로 차이가 있을까? (0) | 202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