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x는 화학적 반응보다는 물리적인 보호층을 형성하여 반응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된 보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Wax는 기본적으로 화학적 반응보다는 온도에 의해 물리적 상태 변화(고체 ⇄ 액체)가 일어나는 물질입니다.
즉, Wax는 일반적인 화학 반응(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등과의 공유 결합)이 아니라 열에 의해 용융되어 작용합니다.
➡ 따라서, Wax는 화학 반응보다는 물리적인 상태 변화(용융, 확산, 흡착)로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Wax를 최적의 조건에서 활용하면 Latex 및 고분자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VP Latex는 Gelation이 일어나지 않고, SBR Latex는 Gelation이 일어나는 이유 분석 (0) | 2025.02.21 |
---|---|
SBR Latex에서 Gelation이 발생한 이유 (0) | 2025.02.21 |
VP Latex가 접착력이 좋은데 SBR Latex를 추가하는 이유(In RFL System) (0) | 2025.02.21 |
Wax의 역할은 무엇인가?(In RFL system) (0) | 2025.02.21 |
RFL Recipe 등 Tire Cord 2Dip에 SBR Latex를 쓰는 이유? (0) | 2025.02.21 |
PE 냉감의 원리 (0) | 2024.06.14 |
RFL 처리시의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 (0) | 2024.06.14 |
Tire Cord의 PET 고분자에 1Dip으로 에폭시와 이소시아네이트를 Dipping하고 2Dip으로 앞서 언급한 선반응한 RF레진을 쓴 RFL Dip액과 순차적으로 만든 저분자량 RFL레진을 사용한 RFL Dip액을 가지고 열처리를 한다. 이때 1Dip과 2Dip의 온도는 모두 240도로 고온인 경우 RFL처리된 PET가 NH3에 추가적으로 반응할 수 있을까? (0) | 2024.06.14 |
NH3의 공격을 방어하는 측면에 화학메커니즘으로 차이가 있을까? (0) | 202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