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SBR Latex가 접착력 향상보다는 다른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큽니다.
VPLatex가 접착력은 더 좋지만, SBR Latex를 함께 사용하는 이유는 접착력 외에도 물리적 특성(유연성, 내구성, 내수성, 피로 저항성 등)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일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 최적의 접착력만을 목표로 한다면 SBR Latex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실제 적용 환경(예: 내구성, 유연성, 내수성 등)을 고려하면 SBR이 필요한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따라서 SBR Latex는 접착력 저하 요인이 아니라, 오히려 전체적인 성능 최적화를 위해 필수적인 조정 요소일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Wax가 표면을 보호하는 원리와 열에 의한 반응 여부 (0) | 2025.02.21 |
---|---|
VP Latex는 Gelation이 일어나지 않고, SBR Latex는 Gelation이 일어나는 이유 분석 (0) | 2025.02.21 |
SBR Latex에서 Gelation이 발생한 이유 (0) | 2025.02.21 |
Wax의 역할은 무엇인가?(In RFL system) (0) | 2025.02.21 |
RFL Recipe 등 Tire Cord 2Dip에 SBR Latex를 쓰는 이유? (0) | 2025.02.21 |
PE 냉감의 원리 (0) | 2024.06.14 |
RFL 처리시의 에폭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 (0) | 2024.06.14 |
Tire Cord의 PET 고분자에 1Dip으로 에폭시와 이소시아네이트를 Dipping하고 2Dip으로 앞서 언급한 선반응한 RF레진을 쓴 RFL Dip액과 순차적으로 만든 저분자량 RFL레진을 사용한 RFL Dip액을 가지고 열처리를 한다. 이때 1Dip과 2Dip의 온도는 모두 240도로 고온인 경우 RFL처리된 PET가 NH3에 추가적으로 반응할 수 있을까? (0) | 2024.06.14 |
NH3의 공격을 방어하는 측면에 화학메커니즘으로 차이가 있을까? (0) | 2024.06.14 |